분류 전체보기131 덕산테코피아 이차전지 사업, 첨가제와 양극재로 미래 성장 동력 확보 오늘 많은 상승폭을 보여준 덕산테코피아의 이차전지 사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덕산테코피아 이차전지 사업 덕산테코피아는 디스플레이용화학제품, 반도체용 소재, 2차 전지 소재 등을 생산하는 화학소재 기업입니다.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이차전지 사업에 진출하여 첨가제와 양극재 분야에서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덕산테코피아 이차전지 사업은 크게 첨가제와 양극재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첨가제 사업 덕산테코피아는 2023년부터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이는 첨가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덕산테코피아의 첨가제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용량, 출력, 수명 등을 향상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술력과 노하우 덕산테코피아는 첨가제 분야에서 20년 이상의 연구개발 경험.. 2024. 1. 20. LG화학, 글로벌 1위 양극재 탈석유화의 핵심 LG화학 양극재 사업 탈석유화학의 핵심 LG화학은 석유화학, 전지소재, 생명과학 등 3개 사업을 중심으로 성장해 온 기업입니다. 그중에서도 전지소재 사업은 LG화학의 미래 성장을 이끌 핵심 먹거리 사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LG화학의 전지소재 사업은 크게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 등 핵심 소재 4개 분야 정부 구성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양극재는 전기차 배터리 성능과 생산원가 가격을 결정하는 핵심 소재로, 전지소재 사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큽니다. LG화학은 2022년 기준 전 세계 양극재 시장에서 점유율 20%를 차지하며 글로벌 1위를 기록했으며 반도체에 이어서 이차전지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산업이 탄생되었다는 의미입니다. LG화학의 양극재 사업이 큰 성장한 배경에는 전기.. 2024. 1. 19. 고려아연 양극재 사업, 미래 성장 동력 고려아연 양극재 사업 고려아연은 2023년부터 본격적인 이차전지 사업에 진출했습니다. 고려아연은 2차 전지 소재의 핵심 원료인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100년 이상의 제련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한 기술력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고려아연의 양극재 사업은 다음과 같은 3가지 사업 영역으로 구성됩니다. 전구체 생산 고려아연의 자회사인 켐코는 LG화학과 합작법인인 한국전구체를 설립하여 전구체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한국전구체의 연간 생산능력은 2만 톤으로, 2024년부터 양산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양극재 생산 고려아연은 2025년까지 연간 10만톤 규모의 양극재 생산시설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주요 생산제품은 NCM, LFP 등입니다. 폐배터리 재.. 2024. 1. 19. 코스모신소재, LCO 양극재 1위 기업의 전기차 시장 확대 수혜 코스모 신소재 양극재 사업 코스모 신소재는 2023년 11월 29일 일반공모를 통해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이차전지 양극재 전문 기업입니다. 1997년 설립된 코스모 신소재는 플라스틱, IT 소재 사업을 영위하다가 2010년부터 이차전지 양극재 사업에 진출했습니다. 코스모 신소재는 현재 충주 공정에서 LCO(리튬코발트산화물)와 NCM(니켈, 코발트, 망간산화물) 양극재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LCO는 소형 IT 기기에 주로 사용되는 양극재로, 높은 전압과 에너지 밀도를 갖는것이 특징입니다. NCM은 전거치 배터리에 주로 사용되는 양극재로,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 위해 니켈 함량을 높이는 추세입니다. 코스모 신소재는 LCO 양극재 분야에서 국내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NCM 양극재 분야에.. 2024. 1. 18.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33 다음